연차, 월차, 유급휴가 뜻을 알아보았습니다. 직장인이 되면 꼭 알아야 하는 게 바로 휴가 제도입니다. 그중에서도 연차, 월차, 유급휴가는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에요.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쭉 읽으면 다시는 찾아볼 필요 없으실 겁니다.
연차 뜻
연차란 1년 동안 근무한 대가로 주어지는 법적 휴가예요.
근무 1년 차에는 11일, 2년 차부터는 최소 15일이 생겨요.
그리고 회사가 정해둔 날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날 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 예시
- 민수는 회사에 1년을 다녔어요.
- 그래서 15일의 연차휴가가 생겼고,
- 여름에 친구와 바다 여행을 가기 위해 7월 15~16일 연차를 사용했어요.
- 이틀을 쉬어도 급여는 그대로 지급됐죠.
월차 뜻
월차는 매달 일정 근무를 채우면 발생하는 휴가였어요.
과거에는 매달 1일씩 발생했지만, 요즘은 대부분 연차로 통합됐어요.
다만 일부 회사에서는 자체 규칙으로 월차휴가를 별도로 운영하기도 해요.
- 예시
- 혜진이는 5월 한 달 동안 결근 없이 매일 출근했어요.
- 그래서 회사에서 월차 1일을 지급했고,
- 그녀는 월차를 6월 2일에 사용해 금요일까지 주말 포함 3일 연휴를 만들었어요.
- 역시 월급은 정상 지급됐죠.

유급휴가 뜻
유급휴가란 쉬는 날에도 월급이 나오는 휴가를 말해요.
연차, 월차, 경조휴가, 출산휴가 등이 대표적이에요.
반대로 무급휴가는 쉬긴 쉬는데, 그 날 급여는 지급되지 않아요.
- 예시
- 지훈이는 부모님 회갑잔치가 있어 회사에 경조휴가를 신청했어요.
- 이틀 동안 회사에 나가지 않았지만,
- 이틀치 급여는 그대로 지급됐어요.
- 이게 바로 유급휴가예요

📌 함께 알면 좋은 휴가 관련 용어
연차, 월차, 유급휴가 외에도
직장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휴가 용어가 있어요.

아래 용어들도 함께 알아두면 실무에 아주 유용합니다.
- 경조휴가
결혼, 가족 사망, 부모님 회갑 같은 특별한 날에 주어지는 유급휴가입니다.
📌 예: 결혼식으로 3일 쉬고, 급여는 그대로 받는 경우 - 병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아플 때 사용할 수 있는 휴가입니다.
📌 예: 독감으로 2일 쉬고, 진단서 제출하는 경우 - 공가
국가에서 정한 의무 사항(투표, 예비군 훈련 등)으로 쉬는 날입니다.
📌 예: 예비군 훈련으로 하루 쉬고 급여 받는 경우 - 대체휴일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때, 평일에 쉬도록 대체해주는 휴일입니다.
📌 예: 설날이 일요일이라 월요일에 쉬는 경우 - 포상휴가
회사 성과나 특별 공로에 따라 부여되는 특별 유급휴가입니다.
📌 예: 프로젝트 성공으로 3일 포상휴가 받는 경우
용어 | 뜻 | 예시 |
경조휴가 | 결혼, 가족 사망 등 특별한 상황에 사용하는 유급휴가 | 결혼식 3일 휴가, 급여 지급 |
병가 |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사용하는 휴가 | 독감으로 2일 병가, 진단서 제출 |
공가 | 투표, 예비군 등 국가 의무로 쉬는 유급휴가 | 예비군 훈련 1일 휴가, 급여 지급 |
대체휴일 |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때 평일로 대체하는 휴일 | 설날 일요일 → 월요일 대체휴일 |
포상휴가 | 성과, 공로로 회사가 부여하는 특별 유급휴가 | 프로젝트 성공으로 3일 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