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궁 뜻으로 부터 시작해서, ‘귀궁’ 속 팔척귀, 이무기, 수살귀, 외다리귀의 뜻까지 제대로 알아보았습니다. 실제 뜻을 알면 드라마 귀궁을 더욱 재밌게 즐길 수 있겠죠? 한국 전통 설화와 민속신앙을 기반으로 바로 살펴보시죠!
1. 귀궁 뜻 (귀신이 머무는 궁궐)

‘귀궁’이라는 제목부터 낯설게 느껴지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이 단어는 한자 그대로 ‘귀(鬼): 귀신’과 ‘궁(宮): 궁궐’을 합친 말로,
귀신이 머무는 궁궐, 또는 죽은 자들의 저주가 남아 있는 공간을 뜻합니다.
드라마 속에서는 과거 왕실의 비극이 얽힌 폐궁을 배경으로,
그곳에 봉인되었던 정령들과 귀신들이 하나둘 깨어나는 전개가 펼쳐집니다.
단순한 공포물이 아니라, 권력의 잔혹한 역사와
그에 따른 원한을 다루는 설정이기도 하지요.
2. 팔척귀 뜻 (8척의 거구귀신)

팔척귀는 드라마에서 가장 위협적인 존재 중 하나로 묘사됩니다.
이름 그대로, 키가 8척(약 240cm 이상)에 달하는 거대한 귀신인데요, 단순히 크기만 큰 것이 아니라 깊은 원한을 품고 나타난 악귀입니다.
전설에 따르면,
팔척귀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가집니다
- 과거 왕실에 의해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자의 혼령
- 죽은 후 8척 크기의 괴력 귀신으로 변모
- 왕족이나 왕의 피가 흐르는 자에게만 나타나는 저주
특징 | 설명 |
---|---|
키 | 약 240cm 이상 (8척) |
정체 | 왕가에 원한을 품고 죽은 인물의 귀신 |
대상 | 일반인이 아닌 왕가 후손에만 출현 |
상징 | 권력의 죄와 그에 따른 대가, 복수의 화신 |
팔척귀는 단순히 사람을 해치는 존재가 아니라,
왕실이 숨기고 싶어 했던 진실을 들춰내는 존재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극 중 인물들이 팔척귀와 얽히면서
과거의 역사와 죄악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3. 이무기 뜻 (용이 되지 못한 존재)

‘이무기’는 오랜 시간 한국 설화에 등장해온 전설의 생물입니다.
보통은 수천 년을 살아야만 용이 될 수 있는 뱀 같은 존재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은 용으로 승천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도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드라마에서는 ‘강철’이라는 인물이 이무기의 피를 이어받은 인물로 등장합니다.
또한 ‘비비’라는 여성 캐릭터도 이무기의 후예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둘 다 극한의 상황에서 이무기의 능력을 각성하게 됩니다.
이무기의 상징적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억눌린 잠재력과 감정의 폭발
- 되다 만 존재로서의 비애와 분노
- 불완전함에서 비롯된 불안정한 힘

이무기는 단순한 몬스터라기보다는,
운명과 싸우고자 하는 인간의 내면을 대변하는 존재입니다.
그래서 강철과 비비가 처한 상황은
운명적 비극과 정체성의 혼란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4. 수살귀 뜻 (억울하게 죽은 물귀신)

‘수살귀’는 물(水)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귀신입니다.
이름 그대로 ‘수(水) + 살(煞)’로, 물과 관련된
재앙이나 저주를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됩니다.
드라마에서는 중궁전의 후원 우물 속에 존재하는 귀신으로 등장하며,
생전에 옥임이라는 이름을 가진 궁녀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수살귀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궁중 암투로 인해 억울하게 우물에 빠져 죽음
- 물가에서 사람을 유혹하거나 끌어들임
- 극 중 인물이 우물 근처에만 가도 악몽을 꾸거나 환청을 듣는 현상 발생
항목 | 내용 |
---|---|
정체 | 후원 우물에 살던 궁녀의 원혼 |
사망 이유 | 음모와 모함에 의한 억울한 죽음 |
행동 양상 | 물을 통해 접근, 정신적 혼란 유발 |
상징 | 여성의 희생, 억눌린 진실, 물의 저주 |
수살귀는 드라마에서 궁중의 숨겨진 비밀과 피해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인물로도 볼 수 있습니다.
5. 외다리귀 뜻 (외다리 귀신)

‘외다리귀’는 이름 그대로 다리가 하나뿐인 귀신을 말합니다.
한국 민간신앙에서는 흔히 불균형하고 기형적인 존재를 불길하게 여겨,
외다리귀를 만나면 병이 나거나 재수가 없다고 믿었습니다.

드라마에서는 늘 삿갓을 쓰고 도롱이를 입은 채,
밤마다 특정 집을 배회하는 존재로 나타납니다.
그가 머물렀던 집에서는 반드시 병자가 생기거나
사고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존재는 단순한 유령이 아니라,
사회 구조 속에서 소외되고 망가진 존재의 상징입니다.
외다리귀는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경고하는 징조의 존재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징 정리:
- 밤에만 출몰
- 다리가 하나뿐이며, 보행 시 소리가 독특함
- 사람들에게 직접 해를 가하기보다는 주변에 재난을 유도
외다리귀는 불안정한 질서, 병든 사회, 숨겨진 병폐를 환기시키는 존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