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 뜻 (24절기 – 여름)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뜻을 잘 정리했습니다. 우리나라 24절기 중 여름은 가장 활기차고 에너지가 넘치는 계절입니다. 총 6개의 절기로 나뉘며 자연의 흐름과 날씨 변화를 세밀하게 읽어낼 수 있어요. 지금부터 여름 절기를 차례로 살펴볼까요?

봄 24절기 (입춘,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 뜻)👆 여름 24절기 (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 뜻)👆 가을 24절기 (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 뜻)👆 겨울 24절기 (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 뜻)👆

🌿 1. 입하 (立夏) — 여름의 문을 열다

  • 양력 5월 5~7일경
  • 여름이 시작되는 첫 절기


‘입하’는 여름이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기온이 점차 오르고, 들판에는 초록색이 짙어지며
자연이 점점 활기를 띠기 시작하죠.

농가에서는 모내기 준비에 돌입하고,
여름 채소와 과일의 성장이 본격화됩니다.


🌧️ 2. 소만 (小滿) — 만물이 채워지다

  • 양력 5월 20~22일경
  • 식물과 곡식이 점점 자라나는 절기


‘소만’은 조금씩 채워진다는 뜻을 지니며
논밭의 곡식과 산의 초목이 무성해지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이 시기부터 초여름의 푸른 기운이 강해지고
씨앗에서 싹 튼 식물들이 본격적으로 자라며,
자연은 생동감으로 가득 차오르죠.

농사 일정도 바빠지고,
여름을 대비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이뤄집니다.


🐸 3. 망종 (芒種) — 곡식 심기 좋은 때

  • 양력 6월 5~7일경
  • 보리·밀 수확과 벼 심기 적기


‘망종’은 수염 망(芒)과 씨앗 종(種)
즉, 수염 달린 곡식의 씨를 뿌리기에 좋은 시기를 의미해요.

보리, 밀 같은 작물은 수확하고,
모내기와 여름 작물 심기가 한창 이뤄지는 때죠.

날씨는 점점 더워지며 습도도 오르기 시작,
농촌은 가장 분주한 시기로 들어섭니다.


🌻 4. 하지 (夏至) — 낮이 가장 긴 날

  • 양력 6월 21~22일경
  • 연중 낮 시간이 가장 긴 절기


‘하지’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오르는 시점으로
낮 시간이 연중 최고조에 이르는 날이에요.

이 무렵에는 햇빛이 강하고 기온도 빠르게 오르며,
들판에는 벼와 여름 작물들이 왕성하게 성장해갑니다.

하지가 지나면서 장마의 기운이 서서히 다가오며,
여름의 절정을 향해 자연은 계속 변화해요.


🌧️ 5. 소서 (小暑) —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

  • 양력 7월 6~8일경
  • 덥기 시작하지만 아직 본격적이진 않은 절기


‘소서’는 작을 소(小), 더울 서(暑)
즉, 작은 더위라는 뜻이에요.

이때부터 한여름 날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장마와 국지성 호우가 잦아지죠.

습하고 더운 날씨가 계속되면서
자연은 무더위를 견디기 위한 준비에 들어갑니다.


🔥 6. 대서 (大暑) — 더위의 절정

  • 양력 7월 22~24일경
  • 1년 중 가장 더운 절기


‘대서’는 큰 대(大), 더울 서(暑)
즉, 가장 심한 더위를 뜻해요.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며
농작물도 가뭄과 병해충 피해를 받기 쉬운 시기죠.

여름 과일과 채소는 수확기에 접어들고,
강한 햇살과 높은 온도에 대비해
농가에서는 물 관리와 병해충 방제에 힘을 씁니다.

여름 24절기 정리

절기시기의미
입하5월 5~7일여름 시작
소만5월 20~22일만물 성장
망종6월 5~7일모내기, 수확
하지6월 21~22일낮 가장 김
소서7월 6~8일더위 시작
대서7월 22~24일더위 절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