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뜻을 잘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의 사계절 중 겨울은 차가운 바람과 흰 눈, 긴 밤으로 대표되는 계절입니다. 겨울도 6개의 절기로 세분화되어 계절의 변화를 섬세하게 알려주고 있어요. 지금부터 겨울 절기 6가지를 자연스러운 흐름과 함께 자세히 소개해볼게요.
※ 계절별 24절기는 필수교양입니다
봄 24절기 (입춘,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 뜻)👆 여름 24절기 (입하,소만,망종,하지,소서,대서 뜻)👆 가을 24절기 (입추,처서,백로,추분,한로,상강 뜻)👆 겨울 24절기 (입동,소설,대설,동지,소한,대한 뜻)👆🌬️ 1. 입동 (立冬) — 겨울이 시작되는 날
- 양력 11월 7~8일경
- 겨울의 문턱
‘입동’은 이름 그대로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나무들은 잎을 떨구며 겨울 준비에 들어가죠.

농촌에서는 김장철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며
가정에서도 겨울옷과 난방기구를 꺼내는 시기입니다.
이 때부터 기온이 눈에 띄게 내려가며
자연은 본격적인 겨울 분위기를 띄기 시작해요.
🌨️ 2. 소설 (小雪) — 첫눈이 내릴 듯한 시기
- 양력 11월 22~23일경
- 조금 추워지고, 첫눈이 올 수 있는 절기
‘소설’은 이른 겨울 기운이 짙어지며
가벼운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때를 의미해요.
아직 많은 눈은 아니지만,
차가운 바람과 함께 첫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온은 점차 떨어지고
강원도나 산지 지역부터 서서히 눈 소식이 들려오죠.
도심도 아침저녁으로 제법 쌀쌀해집니다.
❄️ 3. 대설 (大雪) — 본격적인 큰 눈
- 양력 12월 7~8일경
- 눈이 많이 내릴 수 있는 절기
‘대설’은 많은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는 시기입니다.
산과 들, 도심 모두 눈으로 덮일 확률이 높아지죠.

이때부터는 한파가 본격화되며,
가장 두꺼운 겨울옷과 방한용품을 챙겨야 하는 시점이에요.
농촌에서는 마지막 김장을 마무리하고,
자연은 깊은 겨울잠에 빠질 준비를 합니다.
🌌 4. 동지 (冬至) —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
- 양력 12월 21~22일경
-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절기
‘동지’는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이 날을 기점으로 다시 낮 시간이 서서히 길어지기 시작해요.

한국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는 전통이 있어
액운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풍습이 이어져왔습니다.
기온은 더욱 차가워지고
해가 빨리 지며 겨울 특유의 분위기가 짙어져요.
동지를 기준으로 본격적인 겨울 한파가 찾아옵니다.
🥶 5. 소한 (小寒) — 추위가 시작되는 절기
- 양력 1월 5~6일경
- 본격적인 추위 시작
‘소한’은 이름 그대로 작은 추위가 시작된다는 의미에요.
하지만 실제로는 대한 못지않게 매서운 날씨가 나타날 때도 많습니다.

북풍이 강하게 불고,
강이나 호수는 얼음으로 뒤덮이며,
눈 덮인 풍경이 자주 나타나는 시기죠.
이때부터는 외출 시 방한용품이 필수이고,
건강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하는 절기입니다.
❄️ 6. 대한 (大寒) — 가장 혹독한 추위
- 양력 1월 20~21일경
- 1년 중 가장 추운 절기
‘대한’은 이름 그대로 한 해 중 가장 춥고 매서운 시기에요.
매서운 칼바람과 영하의 날씨가 이어지며
강추위와 한파 특보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 절기엔 한겨울의 절정으로
논밭, 산, 강, 도심까지 꽁꽁 얼어붙고
아침엔 두꺼운 서리와 얼음이 낀 풍경이 펼쳐져요.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에 적합하며
겨울 축제나 얼음낚시 행사가 활발하게 열리는 시점입니다.
겨울 절기 한눈에 정리
절기 | 시기 | 특징 |
입동 | 11월 7~8일 | 겨울 시작 |
소설 | 11월 22~23일 | 첫눈, 조금 추움 |
대설 | 12월 7~8일 | 큰 눈 가능성 |
동지 | 12월 21~22일 | 밤이 가장 김 |
소한 | 1월 5~6일 | 추위 시작 |
대한 | 1월 20~21일 | 가장 추운 날 |
겨울 절기 6가지는
단순히 날씨 변화뿐 아니라
옛 조상들의 생활 리듬과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입동부터 대한까지,
서서히 차가워지는 자연의 변화를 읽으며
건강과 생활 리듬을 조절할 수 있었죠.
이 절기를 잘 기억해두면
계절에 맞는 생활과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고
한국 고유의 계절 문화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요.
이렇게 정리된 겨울 절기를 참고해
다가오는 계절을 보다 풍성하게 맞이해보세요.